DevOps/Linux

우분투에 tomcat 설치 및 자동시작

mingmingIT 2017. 11. 30. 10:16
1. 웹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2. 압축을 풀어 준다.
  sudo tar xvf apache-tomcat-7.0.47.tar.gz


3. 설치할 곳으로 압축 해제된 폴더를 이동한다.
sudo mv apache-tomcat-7.0.47 /usr/local/tomcat7


4.  startup.sh 가 있는 곳으로 이동
cd /usr/local/tomcat7/bin/


5. Tomcat 서비스 시작
sudo ./startup.sh


6. 정상 작동 여부 테스트 하기
브라우져 주소창에 http://ip:8080 입력


7. 서버 reboot 시 Tomcat 자동 시작하게 설정하기
sudo vi /etc/init.d/tomcat
#!/bin/bash
### BEGIN INIT INFO
# Provides:    tomcat
# Required-Start:  $remote_fs $syslog
# Required-Stop:   $remote_fs $syslog
# Default-Start:   2 3 4 5
# Default-Stop:    0 1 6
# Short-Description: auto start Tomcat server
# Description: start web server
### END INIT INFO
case $1 in
start)
sh /usr/local/tomcat7/bin/startup.sh
;;
stop)
sh /usr/local/tomcat7/bin/shutdown.sh
;;
restart)
sh /usr/local/tomcat7/bin/shutdown.sh
sh /usr/local/tomcat7/bin/startup.sh
;;
esac
exit 0


8. 설정 파일 권한 설정
cd /etc/init.d
sudo chmod 755 tomcat


9. 다음과 같이 마무리 작업
sudo update-rc.d tomcat defaults
- 서비스 등록  (옵션)
※ command not found 라고 나오는 경우도 있음   안해도 상관 없음.
sudo chkconfig --add tomcat


10. 정상 작업 여부 확인
-  service로 tomcat  재 시작 되는지 확인 한다.
-  서버 재 부팅해서 자동 시작 되는지 확인 한다.
sudo service tomcat restart
Sudo reboot
- 브라우져에서 확인 해 본다.  http://IPAddress:8080


11. 서버 재부팅 후 서비스 확인 해본다. (옵션)
- 서비스 확인
※ command not found 라고 나오는 경우도 있음   안해도 상관 없음.
sudo chkconfig -list


'DevOp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acert 사용  (0) 2017.11.30
시스템 시간 동기화  (0) 2017.11.30
hostname 변경 방법  (0) 2017.11.30
ssl websocket (wss) 설정  (0) 2017.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