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racert
tracert -d naver.com
일반적으로 ping이나 tracert 모두 ICMP 를 이용하는 프로그램.
ping은 ICMP echo request를 대상지에 보내고 그 응답을 받아 시간을 표시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만일 방화벽이마 피씨에서 icmp가 막혀 있다면 request timeout이 나오는데 tracert는 이것을 응용한것이에요.
TTL(Time to live)라는 것이 있는데 옵션입니다.
만일 ping을 ttl option을 1로 해서 보내면 첫번째 홉에서 끝나고, 2로 설정해서 보내면 2번째 홉에서 끝나요
이렇게 TTL을 하나씩 늘려가며 icmp request를 보내면 각각의 TTL이 끝나는 곳에서 응답이 옵니다.
이렇게 단계별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표시하는 것이 tracert라는 프로그램입니다.
ex)
naver.com [202.131.30.12](으)로 가는 경로 추적:
1 * * * 요청 시간이 만료되었습니다.
2 1 ms 1 ms 1 ms 10.96.50.1
3 1 ms 2 ms 1 ms 10.96.22.1
4 3 ms 4 ms 2 ms 10.96.10.2
5 12 ms 6 ms 3 ms 175.114.131.117
6 5 ms 4 ms 9 ms 1.244.12.77
7 7 ms 10 ms 8 ms 118.221.5.161
8 6 ms 7 ms 7 ms 58.229.9.222
9 12 ms 16 ms 17 ms 118.221.4.194
'DevOp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스템 시간 동기화 (0) | 2017.11.30 |
---|---|
hostname 변경 방법 (0) | 2017.11.30 |
ssl websocket (wss) 설정 (0) | 2017.11.30 |
우분투에 tomcat 설치 및 자동시작 (0) | 2017.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