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A 4

QueryDSL과 JPA 성능 튜닝 전략

JPA와 QueryDSL을 활용할 때 성능 최적화는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잘못된 설정이나 비효율적인 쿼리는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QueryDSL과 JPA의 성능 튜닝 전략을 소개합니다.1. Lazy Loading과 Fetch Join 최적화1) Lazy Loading 기본 설정JPA에서는 연관된 엔티티를 로딩할 때 LAZY 전략을 기본으로 설정하는 것이 성능 최적화에 유리합니다.@Entity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 지연 로딩 설정 private Team te..

BackEND/Java 2025.04.04

QueryDSL을 활용한 동적 쿼리 작성 및 성능 개선

JPA의 기본적인 조회 기능만으로는 복잡한 조건을 가진 동적 쿼리를 처리하기 어렵습니다. QueryDSL을 사용하면 타입 안전한 방식으로 가독성이 뛰어난 동적 쿼리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QueryDSL을 활용한 동적 쿼리 작성 및 성능 개선 기법을 소개합니다.1. QueryDSL 기본 설정1) QueryDSL 의존성 추가 (Gradle 기준)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5.0.0'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5.0.0:jpa'2) Q클래스 생성QueryDSL은 엔티티 클래스를 기반으로 Q클래스를 자동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Member 엔티티가 있다면 QMember 클래스가 생성됩니다..

BackEND/Java 2025.04.03

JPA의 기본 조회 성능 최적화 기법

JPA를 사용할 때 성능을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잘못된 설정이나 무분별한 쿼리 실행은 애플리케이션의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JPA의 기본적인 조회 성능 최적화 기법을 소개합니다.1. FetchType 설정 (EAGER vs LAZY)JPA에서는 연관된 엔티티를 조회할 때 FetchType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1) 즉시 로딩 (EAGER)연관된 엔티티를 즉시 조회필요하지 않은 데이터를 불필요하게 로딩하여 성능 저하 가능@Entity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ManyToOne(fetch = FetchType.EAGER) // 즉시..

BackEND/Java 2025.04.02

JPA와 QueryDSL 소개 및 비교

1. JPA란?JPA(Java Persistence API)는 자바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베이스와 상호 작용하는 ORM(Object-Relational Mapping) 표준입니다. JPA를 사용하면 SQL을 직접 작성하지 않고도 객체지향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다룰 수 있습니다.JPA의 주요 특징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매핑(O/R Mapping) 지원JPQL(Java Persistence Query Language) 제공자동 트랜잭션 관리캐싱 및 성능 최적화 기능 제공JPA의 한계복잡한 동적 쿼리 작성이 어렵다.기본적으로 제공하는 JPQL은 정적 쿼리 작성에 적합하지만, 동적 쿼리는 번거롭다.네이티브 쿼리 사용 시 유지보수성이 떨어진다.2. QueryDSL이란?QueryDSL은 타입 세이프한 동적 쿼리를..

BackEND/Java 2025.04.0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