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lnet 명령어는 원격 서버의 특정 포트가 열려 있는지 확인할 때 유용한 도구입니다.
이제 telnet을 사용하여 포트가 방화벽에서 허용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telnet 클라이언트 활성화하기
윈도우에서는 기본적으로 telnet 클라이언트가 비활성화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먼저 telnet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1) 제어판에서 활성화하기
- Windows + R을 눌러 실행 창을 열고 appwiz.cpl 입력 후 Enter
- Windows 기능 켜기/끄기를 클릭
- "Telnet 클라이언트" 항목을 찾아 체크한 후 확인
- 설치가 완료되면 컴퓨터를 재부팅
(2) 명령어로 활성화하기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 후 다음 명령어 입력
dism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TelnetClient
- 설치가 완료되면 telnet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telnet을 이용한 포트 열림 여부 확인
이제 telnet을 이용하여 특정 포트가 열려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기본 명령어 실행
명령 프롬프트(cmd)를 열고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telnet [서버 IP] [포트]
예를 들어, 192.168.1.100 서버의 8080 포트가 열려 있는지 확인하려면:
telnet 192.168.1.100 8080
(2) 결과 분석
결과 메시지 | 의미 |
빈 화면(커서만 깜빡임) | 포트가 열려 있음 (연결 성공) |
"연결할 수 없습니다." 또는 "Connect failed" | 포트가 닫혀 있음 (방화벽 차단 또는 서비스 미동작) |
"호스트에 연결할 수 없습니다." | 서버 IP가 잘못되었거나 네트워크 문제 발생 |
3. telnet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해결 방법
(1) 방화벽에서 포트 열기
방화벽이 포트를 차단하고 있는 경우, 아래 방법으로 포트를 열어야 합니다.
- Windows + R → wf.msc 입력 후 Enter
- 좌측 메뉴에서 인바운드 규칙 선택
- 새 규칙 만들기 클릭
- 포트 선택 후 다음
- 확인할 포트 번호(예: 8080) 입력 후 다음
- 연결 허용 선택 후 다음
- 프로필 선택(도메인, 개인, 공용) 후 다음
- 규칙 이름 설정 후 완료
(2) 서비스가 실행 중인지 확인하기
방화벽이 열려 있어도 해당 포트에서 서비스가 실행되고 있지 않다면 telnet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
이를 확인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netstat -ano | findstr :8080
- LISTENING 상태이면 서비스가 실행 중
-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으면 서비스가 실행되지 않음
서비스가 비활성화되어 있다면, 관련 애플리케이션(Apache, Tomcat, Nginx 등)을 시작해야 합니다.
4. telnet이 안될 때 추가 체크 리스트
- 서버 IP 확인: ping [서버 IP]로 서버 연결이 정상인지 확인
- 방화벽 외에도 네트워크 장비(라우터, 보안 장비) 설정 확인
- 해당 포트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실행 중인지 확인
5. 마무리
- telnet [서버 IP] [포트] 명령어를 통해 포트가 열려 있는지 확인 가능
- 연결이 되지 않으면 방화벽 설정, 서비스 상태 등을 점검해야 함
- 필요하면 netstat, ping 등의 명령어와 함께 문제를 진단
위 방법대로 하면 telnet을 활용해 윈도우 서버의 방화벽 오픈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젝트 초기 설계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체크리스트 (1) | 2025.04.11 |
---|---|
Windows에서 HTTPS 테스트 방법 (개발용 SSL 인증서 사용) (0) | 2025.04.09 |
Windows에서 원격 데스크톱 동시 접속 세션 늘리는 방법 (0) | 2025.04.07 |
개발시 변수명 작성 가이드, 좋은 네이밍의 기준 (1) | 2025.03.21 |
[windows] 사용중인 포트 강제로 죽이기 (0) | 2022.08.04 |